“정수장학회, 현 이사진부터 새롭게 구성해야”
정수장학회 공동대책위원회(위원장 한홍구, 이하 공대위)는 28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군사독재 강탈 장물인 정수장학회 문제는 한국사회에서 과거 청산과 정의 회복의 상징적인 위치에 있다”며 “(박근혜 대통령과 관련 없는) 새로운 이사회를 구성해 언론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제도적 장치를 정립하고 설립자인 고 김지태 선생의 유지를 살리는 순수 장학재단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말했다.
![]() |
||
▲ 독재유산 정수장학회 해체와 독립정론 부산일보 쟁취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는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정수장학회의 현 이사진을 사회적 합의를 통해 새롭게 구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언론노조 |
정수장학회 공대위는 박근혜 대통령의 인맥으로 연결된 현 이사진의 개편을 우선순위로 꼽았다. 최필립 이사장이 이사장직에서 물러났다고 하지만 남은 이사진들의 면면을 보면 여전히 박 대통령과 겹치는 인연으로 영향력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인만큼 현 이사진의 동반사퇴와 함께 이사진이 새롭게 꾸려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현 이사진인 신성오, 최성홍 이사는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 청와대에서 일했다. 김덕순, 송광용 이사 역시 박근혜 대통령이 이사장으로 있을 당시 이사를 맡았거나 이사로 선임됐다.
이어 정수장학회 공대위는 새 이사진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유족 대표, 시민사회와 학계, 전문가를 비롯해 언론사의 지분을 소유한 정수장학회의 특성을 감안해 <부산일보>와 MBC 등 언론사 구성원이 포함된 사회적 합의기구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정수장학회는 <부산일보> 주식 100%와 MBC의 주식 30%, 경향신문사 부지 등을 보유하고 있다. 공대위는 이어 장학회의 명칭, 정관개정, 사업방향 등을 재정립하는 절차도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수장학회 공대위는 “진정한 사회적 환원에 걸림돌이 됐던 노욕(최필립 이사장)이 뒤안길로 사라졌다고 해서 정수장학회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정수장학회가 여전히 MBC, <부산일보>, <경향신문> 부지를 소유하고 있는 현실과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정치인 박근혜가 대통령이 된 현실은 양립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한홍구 공대위 위원장은 “박근혜 대통령은 자신과 상관없는 정수장학회의 문제를 시민단체가 계속 거론하고 있다며 이제는 아버지(박정희 대통령)를 놓아달라고 하는데 실은 박정희 전 대통령을 잡고 있는 건 박 대통령 본인”이라고 지적한 뒤 “박근혜 대통령은 그러한 부분을 인정하고, 정수장학회를 바로세운다면 본인은 더 이상 과거사에 발목 잡히지 않고, 박정희 전 대통령은 역사의 영역으로 편입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일보> 기자 출신의 배재정 민주통합당 의원도 “최필립 이사장은 자신의 소임을 다했다는 이유로 사임했는데 (그 소임이란 게) 결국 박근혜 대통령 만들기가 아니었냐”며 “결국 국민들은 정수장학회와 박근혜 대통령의 상관관계에 대해 의혹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 정수장학회는 사회 환원을 통해 제자리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수장학회 공대위는 앞서 언급한 정수장학회의 사회 환원뿐 아니라 <부산일보>의 편집권 독립을 보장하기 위한 ‘사장 직선제’ 도입과 이정호 전 <부산일보> 편집국장을 복직시키는 등 책임있는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기사 원문보기 : http://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37713